아톤은 상대적으로 최근에 상장한 기업으로 자료들이 많다. 특히 도움 되는 자료는 IR 영상이다. 투자설명서에 있는 사업의 내용에도 상당히 잘 설명되어있다. 

IR 자료

https://w4.kirs.or.kr/download/broadcast/%EC%95%84%ED%86%A4%20IR%20Book_%EC%B5%9C%EC%A2%85_20190930.pdf

 

포인트 1

라이센스 매출은 고객이 서비스에 가입할 경우(고객의 수)가 가장 중요하고, 그 고객이 기기를 바꾸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매출이 추가로 발생하는 구조이다. 기간이 대략 어느 정도인지는 모르겠다. 즉, 고객의 수 증가가 중요한데 대형 금융사나 증권사와 계약이 될때마다 매출이 단계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이런 대형 금융사, 증권사의 레퍼런스는 영업에도 큰 도움이 된다. 현재 우리은행만 빼고 모두 계약 중이라고 한다. 매출의 특성은 상저 하고.

 

포인트 2

PASS앱이 22년부터 부분 유료화가 되면서 매출액으로 인식될 예정이며, 산업의 특성상 변동비가 크지 않으므로 증가되는 매출은 대부분 영업이익으로 반영되면서 영업이익률과 당기순이익률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최근 3개년 정도의 비용분석이 필요하다. 나도 PASS앱을 잘 사용 안 했는데, 사용하다 보니 또 사용하게 되는 그 정도 수준이다. SMS 방식보다 보안에는 유리하겠지만, 유저 경험은 큰 차이는 없다. 요새 조금 나아진 것 같긴 하다.

현재 밸류에이션이 부담은 없는 수준이며, PASS앱이 매출에 따라서 향후 주가의 전망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

포인트 3

CB, BW, 사업을 통해 마련한 현금을 이용한 인수합병 예정

 

아톤, 160억 규모 회사채 발행..."신사업진출 등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 뉴스워커

핀테크 보안 소프트웨어 기업 아톤(대표 김종서)이 총 16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한다.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아톤은 60억 규모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와 100억 규모의 전환

www.newsworker.co.kr

 

포인트 4

4,353,577주로 유통 가능한 물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무상증자를 기대?

 

결론

중단기적 관점에서 폭발적인 성장보다는 꾸준하게 성장이 기대되며 모멘텀적인 포인트가 약 3개 정도 존재하는 기업으로 생각됨. ROE와 영업이익률이 잘 찍히며 PASS앱의 매출에 따라서 장기투자적 관점도 낫 배드 하나 사업의 다양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쉽다. 

영업이익이 91억 원이고, 당기순이익은 평가 손때 문이니 91억 원을 기준으로 멀티플은 15 수준으로 양호하다고 본다. 피어그룹의 멀티플이 20 근처긴 하지만 개인적으로 비즈니스의 매력도를 볼 때 공격적으로 매수하는 관점보다는 지켜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PASS앱의 유료화로 영업레버리지가 크게 발생하면 이 지표는 무의미해질지도 모른다. 21년 4분기나, 22년 1분기 PASS앱의 매출이 얼마나 찍히는지 보고 들어가고 싶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07_0001784703&cID=10403&pID=15000 

 

아톤 "지난해, 역대 최대실적으로 마무리"

[서울=뉴시스]신항섭 기자 = 핀테크 보안 기업 아톤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433억원, 영업이익 91억원을 기록해 설립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www.newsis.com

 

예를 들어서 지금 영업이익 가이던스는 대략 분기당 25억이라 잡으면 연간 100억이다. 만약 PASS앱이 분기당 10억 연간 40억 규모라면은 추가로 드는 비용이 거의 없고 분기당 35억 영익, 연간 140억으로 멀티플이 10으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건당 몇십 원으로 알고 있으며 통신사와 매출을 나누기 때문에 건당 10원이라고 가정하면 1억 번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그렇게 유저수를 보면 어려워 보이는 수치는 아니지만 감이 잘 안 온다.

단가와 사용 횟수 등을 알거나, 매출 증가폭을 알 수 있으면 감이 올 것 같다.

이번 하락장에서는 너무 불확실한 점들이 많아서 지속적으로 흘러내렸다. 추매를 하기도 애매할 정도로 조금씩 아주 꾸준히 흘러내렸다. 다행히 오늘은 반등을 주었지만 시장이 무너지면 개별종목들은 따라서 무너지기에 섣부른 대응도 어려웠다.

사실 더 사야지 맞는 거긴 하지만, 현금은 제한적이니 기준을 정해놓고 매수하는 것이 리스크 관리면에서는 조금 더 유의미해 보인다. 또 이번 하락장에서 느낀 것은 급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기회를 주지 않을 것 같던 급등했던 주식들은 모두 기회를 다시 주고 있다. 그렇기에 급등한다면 전량 매도는 아니더라도 30% 정도의 일부는 수익을 실현하는 것이 장기 시계열로 보았을 때에는 유의미할지도 모른다. 

핵심도와 밸류에이션을 이용하여서 생각하는 고점 근처까지 왔다면 현금을 확보해놓고 일부수익을 실현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깨우친 것이 이번장의 교훈이다. 미국장도 변동이 컸지만, 국장은 정말 변동성이 크다. 마음은 급하겠지만, 급할 필요가 크게 없다. 욕심을 덜어내고 안전하게 수익을 실현시켜가는 것이 국장에서 조금 더 현명할 수 있다.

1월에 추가매집한 팅크웨어와 서진시스템에서 손실이 크다. 이번 하락장에 소규모 종목을 모두 한솔케미칼로 교체 매매하였는데, 성과는 쏘쏘 하다. 지나고 보니 핵심도 상단을 초과하였던 한솔케미칼은 일부 매도 못한 것이 아쉽다. 그때에는 이건 장기 투자할 종목이라고 생각하면서 매도하지 않았는데 합리화가 너무 크게 영향을 미쳤던 것 같다.

보유종목의 핵심도를 다시 한번 그려본다.

팅크웨어의 경우 스케쥴들이 좋아서 조금 비싸게 샀지만, 추세를 거의 지켰다. 핵심도 하단에 와있어서 사기에도 나쁘지 않아 보인다. 

서진시스템의 경우도 조금 비싸게 샀다. 크게 하락하였으며 지지선과 과거저항선이 모여있는 곳에서 지지를 받고 있다. 시장이 무너진다면 이것도 깨지겠지만, 사기 좋은 위치라고 생각한다.

한솔케미칼은 추세가 급격하게 무너졌다. 28만 원을 방어선으로 보았는데... 지금은 사기에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본다. 37만 원 이상에서 합리화가 아쉬웠던 종목, 일부 매도하였다면 수량을 늘리기 좋은 기회였겠다. 금융주를 매도하고 저점에 교체매매한 것은 나쁘지 않은 선택이였던 것 같기도하고...

유일하게 하락장에서 좋은 뉴스와 함께 추세를 지킨 켐트로닉스이다. 그나마 계좌가 덜 깨졌던것은 이 종목 덕분인 것 같다.

엠씨넥스는 참 애매하다.

서울바이오시스는 내가 작년에 잘못한 선택 중 하나이다. 큰 교훈을 얻었다. 시장의 흐름은 OLED인데 미니 LED를 주장하면서 싸진다고 추매 하면서 비중을 늘린 것이 큰 잘못이었다. 종목이 좋다고 하더라도 물을 타는 시점은 시장의 흐름이 들어올 때가 적합하다는 것을 생각하였다. 서울반도체도 비슷한 관점이다.

최근 1년간 아무리 좋은 종목이여도 급할 필요가 없다는 것과 스케쥴과 시장의 흐름이 가까운 종목을 우선하여 생각해야하며 핵심도 상단 혹은 고점에서 일부수익실현은 필수라는 교훈을 얻었다.

자산배분투자를 지속하면서 느낀점은 흔들림이 적은 편안함이 느껴졌다. 굳이 매달 기록할 필요도 없었다. 수익률은 시장을 크게 상회할 수 없지만, 위기시마다 큰 하락이 없었으며 포트폴리오 일부에 현금이 있다는 점이 심리적으로 크게 도움이 되었다.

매달 기록하는 습관은 좋지만, 자산배분에서 크게 달라지는 것이 없어서 일단 블로그에 기록하는 것은 그만두고 개인적으로 엑셀에 관리하려고 한다.

보통 블로그글을 작성하면서 생각이 정리가 되는데, 자산배분투자는 굉장히 기계적이기도 하면서 크게 달라지는 것이 없어서 큰 장의 변화가 올때 가끔 기록하려고 한다. 

매달하던 루틴이 어긋나는 것 같아서 조금 아쉽지만, 사실상 달라지는게 연금저축계좌 40만원 추가납입한 것밖에 없는 글을 쓰기가 점점 귀찮아져서...

21년 11월 말쯤 작성해놓았던 것을 조금 수정하여서 이 하락에 매수전략으로 대응하고자 한다. 하락에 의해서 고점대비 약 20% 하락을 하였고, 월급날이 지났음에도 자산은 감소하였다.

아쉽다. 낙폭이 과대한 종목 위주로 하락이 온다면 매수로 대응하려고 한다. 엔솔매도금액도 물론 매수금액으로 사용할 예정

다른주식보다도 한솔케미칼이 레전드로 하락하였다. 그래서 잘버티고있던 금융주를 매도하고 한솔케미칼로 교체하였다. 앞으로는 아래와 같이 대응하려고 한다.

차수 코스피지수 대응
0 2600pt 현재, 관망
1 2500pt 현금 1/3
2 2400pt 현금 1/3
3 2300pt 현금 1/3
현금소진
4 2200pt 마통 1/6
5 2100pt 마통 1/6
6 2000pt 마통 1/6
자산배분 주식올인
7 1900pt 마통 1/6
8 1800pt 마통 1/6
9 1700pt 마통 1/6

 

하락에 크게 의미를 두지않고 현금비중이 항상 있다보니 매수의 기회로 삼는 편이라 하락장에 아파하지만 이것저것 하는편이다. 

이번 하락전에 12월 28일에 매수하려하였던 현금이 있어서 매수하였고, 수익이 나서 좋아하고 있었는데 여러 이슈로 크게 하락중이다. 이제 고정현금이 남았다.

주식이 참 빡시다. 이래서 현금보유는 항상 중요한 것 같다. 그리고 일정한 비중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한 것 같다. 돌이켜보면 자산배분부터 공부한 것은 나에게 참 큰 기반이 되었다.

항상 유지되는 30%가량의 현금이 어떤 상황에서든 나에게 정신적으로 큰 도움이 된다. 찰나의 시간에 국장의 난이도는 크게 상승하였고, 곡소리가 끊이지 않는 상황이다.

공부할 종목은 많지만 눈길이 가는 종목은 한정적이다. 가상자산도 카르다노가 어느정도 자리를 잡아가면서 신규프로젝트가 없어지고 큰 기회가 보이지 않고 기다려야하는 시점이 되었다.

이 시점에서 나는 무엇을 해야할지 고민이다. 다시 공모주가 시작되어서 최소한의 공모주는 열심히 하겠지만. 파이프라인을 나는 어떻게 추가할 것인가 그것이 고민이다.

그래도 에이다 수량을 굉장히 많이 늘린 것은 내가 정말 열심히 공부하고 발품을 팔았기 때문이니 내 자신에게 칭찬해주자. 가격은 고정이지만 수량을 많이 늘렸다. 앞으로도 더 많이 쭉쭉 늘려가야겠다. 가격까지 올라준다면 너무 좋고. 그때에는 BTC와 ETH도 다시 비중을 늘려서 리스크 조절을 해야겠지. 

 

자금이 커질수록 더 높은 강도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자금이 작을 때에는 집중해봤자 금액이 소박하지만 규모가 커질수록 집중하는 금액은 커진다. 이때 흔히 하는 실수가 자금의 상한선은 막혀있고 종목의 수가 늘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도 요즘 주식장을 보고있자면 아는 것은 조금씩 더 많아지면서 좋은 종목은 많이 보인다. 하지만 같이 가는 종목이 있는 도중에 좋은 종목이 보이는 경우에 참 난감하다. 선택을 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선택과 집중을 해보려고 한다. 지금 배당계좌를 제외하고 보유종목의 선호도를 나열해보려고 한다.

1 티어 : 한솔케미칼, 켐트로닉스, 팅크웨어

2 티어 : 서진시스템

2.5 티어 : 민앤지 , 하이비젼시스템, 서울바이오시스, 서울반도체, 엠씨넥스

최근 서진시스템을 공부하면서 매력이 높았고, 신성장 모멘텀이 많은 것이 좋게 느껴졌다. 그래서 자금을 가져와야 한다. 팅크도 좋다. 근데 2.5 티어로 나눈 애들도 참 좋다. 너무 어렵다 정말.

지금 원하는 것은 서진시스템 의미 있는 비중으로 편입하기, 팅크웨어 비중 높히기, LG에너지 설루션 상장 후 한솔케미칼 매수하기 정도이다. 한솔케미칼은 의미있는 가격이라고 보고있지만 LG에너지솔루션 블랙홀이 예상되기 때문에 매수시기를 미루고 있다. 

일단 민앤지는 아주 좋은 회사지만, 모멘텀에 영향 없이 꾸준한 기업이다. 그렇기에 장기 보유해도 되지만 소액이기도 해서 서진시스템 매수를 위한 자금으로 써야겠다. 여기까지는 마음을 굳혔다.

하이비젼도 다시 모아가려고 하였지만, 나는 서진시스템이 더욱 마음에 든다. 하지만 하이비젼도 매력적인 친구인데... 엠씨넥스도 마찬가지로... 하지만 내 마음은 서진이한테 간다.

서울바이오시스와 서울반도체는 유일하게 손실구간인 종목이다. 하지만 미니 LED 와 마이크로 LED의 흐름이 온다면 그 손실을 충분히 회복하고도 남을 좋은 회사라서 섣부른 매수는 어렵지만 매도하고 싶지는 않다. 손실회피 편향일 수도 있겠으나 나는 성장하는 좋은 회사라고 본다. 밸류도 원래 비쌌으나 현재 괜찮다고 본다.

배당주를 제외한 것은 배당주에 편입된 친구들이 금융주이기 때문이다. 배당주는 현금처럼 쓸 수도 있으며 금리인상시기에 어느 정도 안정성을 가져와줄 수 있기에 섣부르게 매도하면서 위험성을 높이고 싶지는 않다.

엠씨넥스는 요새 공부를 많이 안 했기 때문에 판단이 안 선다. 엠씨넥스 공부를 다시 하면서 고민해보아야겠다.

한솔케미칼, 팅크웨어, 켐트로닉스, 서진시스템, 서울바이오시스(반도체), 엠씨넥스... 6~7 종목 정도로 추려지는 것 같다.

 

 

21.12.16

 

크레센도-SKS PE, 서진시스템 추가 베팅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21.11.26

 

서진시스템•에이스엔지니어링•HMM, 하이퐁에 컨테이너 공장 세운다 - 인사이드비나

[인사이드비나=하노이, 떤 풍(Tan phung) 기자] 한국해양진흥공사(KOBC, 사장 김양수) 주도로 통신장비 케이스 전문업체 서진시스템과 특수컨테이너 제조업체 에이스엔지니어링이 공동으로 투자해

www.insidevina.com

 

[Company Watch]'컨테이너 진출' 서진시스템, 中 장악 시장에 '맞불'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21.11.11

 

[Company Watch]'실적 잔치' 서진시스템, 2200억 CB 덕 톡톡히 봤다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21.11.10

 

'에릭슨 효과' 서진시스템, 어닝 서프라이즈 기대감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21.06.29

 

서진시스템, 베트남법인 현금대여 '일거양득'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21.05.14

 

[PE 포트폴리오 엿보기]실적 주춤 서진시스템, 수주 확대 효과볼까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21.02.24

 

전동규 서진시스템 사장, 잇단 CB 투자 노림수는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21.02.19

 

크레센도, 서진시스템 세번째 투자 배경은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21.02.19

 

'1100억 조달' 서진시스템, EV 배터리 케이스 양산 임박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재무적으로는 공격적인 투자를 위해 전환사채를 많이 발행하였음. 이자비용이 약간 부담스럽다는 점, 영업현금흐름이 안 좋은 것을 운전자본이 워낙 많이 증가하여서.

통신장비는 삼성전자 뿐만아니라 후지쯔/에릭슨도 공급시작.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는 삼성SDI향(헝가리 거점마련중)으로 중장기적인 성장이 예상 + 베트남 Vinfast향도 추가. 가시화되는 시기가 곧 올 것이지만, 5G 모멘텀도 중요해보임

 

알루미늄 이용 응용제품 생산. 4가지 주력사업 통신, 휴대폰, 반도체, ESS이다. 알루미늄은 얇고 튼튼 발열이 잘되며, 경량이기에 위의 산업에서 성장할 것으로 기대. 휴대폰은 성장정체, 통신은 턴어라운드 중, 반도체 성장, ESS 급성장. 산업 자체의 진입장벽은 낮으나, 설비투자와 대형 고객사의 기준이 진입장벽.

(* 중요, 단기모멘텀) 통신용은 RRH, RRU, DU 등이 있으며 DU는 독점(텍슨이 하는 중) 하여 대부분 삼성전자를 통해 남품 중. 글로벌 기업과 계약성사 기대.

반도체는 텍슨이 식각장비 1위, 증착장비 3위 업체인 램리서치의 한국 생산법인 및 협력사 싱가포르 UCT에 장비를 남 품

휴대폰용은 삼성전자에 남 품

(*중요, 중단 기모 멘텀)ESS는 삼성 SDI에 납품 중이며 텍슨이 담당하며 베트남내 대량 양산 체제 구축. Fluence와 OEM 사업 확대하여 매출 증가 중.

(*장기 모멘텀) 자동차 부품 부문 담당 서진오토 설립하여 투자 중, 전기 자동차 연료전지 CASE, 자동차 알루미늄 부품 생산체 게 구축

(*중단 기악재) 전환사채 발행이 상당히 많은 것은 주가 상승에 악영향 →  급등 시 매도 후 다시 수량 모으기 전략


RRH란(Remote Radio Head) 대기중에 필요한 데이터만 골라 수신하는 무선(RF)부분과 이 데이터를 해독하는 제어부문으로 구성되는 장치로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RF부문만 따로 분리한 것이다. RRH는 LTE 보급 확대와 함께 기지국이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 용량을 늘리면서도 기지국 투자비는 줄일 수 있어 LTE등 제4세대 이동통신 보급과 함께 기지국 표준 장비로 빠르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차세대 기지국"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리모트 레이디오 헤드는 오늘날의 새로운 분산 기지국의 가장 중요한 하위 시스템 중 하나가 되었다. 리모트 레이디오 헤드는 무선 주파수 회로망과 아날로그-디지털/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업/다운 컨버터를 포함하고 있다. RRH는 또한 운용과 관리, 처리 능력, 남는 기지국으로 연결해주기 위한 표준화된 광학 인터페이스도 가지고 있다. 이는 LTE와 WiMAX가 배치되면서 더욱 사실이 되었다. 리모트 레이디오 헤드는 기지국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갭 커버리지 문제를 위한 물리적 위치를 간단하게 해주기 때문에 MIMO 운용을 더욱 쉽게 만들어준다. RRH는 RRH RFPA 내에서 GaN RF 전원 장치와 ET(envelope tracking) 기술을 포함하여 최신 무선 주파수(RF) 구성 요소 기술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ㅁ RRU란(Remote Radio Unit) RRH와 혼용하여 단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

A remote radio head (RRH), also called a remote radio unit (RRU) in wireless networks, is a remote radio transceiver that connects to an operator radio control panel via electrical or wireless interface. When used to describe aircraft radio cockpit radio systems, the control panel is often called the radio head. (Wiki)

ㅁ DU(Digital Unit) 기지국의 디지털 신호 처리 부문으로 3G, 와이브로, LTE 등의 무선 디지털 신호를 암호화, 복호화하는 채널카드로 구성되며 RU(Radio Unit)와는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연동하여 교환국사에 DU 집중센터로 운영된다.

ㅁ 4G -> 5G 변화 : 4G 대비하여 촘촘하게 설치하여야 하지만 경량화, 소형화, 통합화되면서 투자비용이 작아질 가능성있다. 지능(intelligence)을 기기에 분산하는 무선 엣지가 등장함에 따라 LTE에서의 DU(Digital Unit)가 5G 때는 DU(Digital Unit, Distributed Unit)와 CU(Centralize Unit)로 나눠진다. 5G의 DU가 무선 엣지 시스템으로 정보량이 적은 데이터를 직접 처리하기 때문에 LTE와 다른 저지연이 5G의 가장 큰 장점이다.

또한, 기술의 발달로 LTE 때는 안테나, RF(radio frequency, 무선 주파수) 케이블, RRH(remote radio head)/RU(Radio Unit)로 독립적으로 구성됐던 것이 5G에서는 기술의 발전으로 하나로 합쳐져 AAU(Active Antena Unit)로 바뀌었다. 여기에 LTE 장비와 5G 장비가 연동되는 NSA(논스탠드얼론)에서 5G 단독모드인 SA(스탠드얼론)으로 넘어가면 AAU와 DU가 합쳐지는 DAU(Digital Antena Unit)도 등장할 예정이다. 다시 말해, 기술이 발전되면 장비들이 계속 하나로 합쳐지면서 이통사 입장에서는 투자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LTE 때와 달라지는 5G 장비, 이통사 망투자비 예상보다 낮아진다

[키뉴스 백연식 기자] 이르면 오는 12월에 이동통신 5G 서비스가 시작된다. 12월에 시작되는 5G 서비스는 우리에게 익숙한 스마트폰이 아닌 모바일 라우터 형태로 지원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들이

newsum.zum.com

ㅁ Fluence Energy : 지멘스(Siemens) 및 AES코퍼레이션(The AES Corporation이 공동으로 설립한 에너지저장 기술 및 서비스 회사인 플루언스에너지(Fluence Energy, LLC). 테슬라와 함께 세계 최대 ESS기업으로 꼽힘.

 

플루언스, 세계 최대급 ESS 제공 - 투데이에너지

[투데이에너지 임승희 기자] 지멘스(Siemens) 및 AES코퍼레이션(The AES Corporation이 공동으로 설립한 에너지저장 기술 및 서비스 회사인 플루언스에너지(Fluence Energy, LLC)가 모든 정부 승인 및 인가를

www.todayenergy.kr

ㅁ OEM : a, b 두 회사가 계약을 맺고 a사가 b사에 자사상품의 제조를 위탁하여, 그 제품을 a사의 브랜드로 판매, 주문자위탁생산이라고도 하며 대기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생산 방식

ㅁ 다이캐스팅 : 대기압 이상의 압력 하에 용융금속을 금형에 주입하는 주조법. 아연·알루미늄·구리·마그네슘의 합금 등 기계부품 주조에 많이 활용된다. 두께 1.5~5mm 가량의 얇은 것이 제조하기 쉬우며, 정밀도가 높아 거의 표면가공도 필요 없다. 알루미늄이나 구리 합금에서는 금형(金型) 한 개로 수만에서 수십만 개, 아연의 경우 거의 무한하게 생산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die-cast)가 승용차용 소형 엔진의 실린더 블록에 까지 이용되고 있다.

ㅁ CNC가공 : CNC 가공은 자동화 된 절삭 공구가 블록 형태의 재료 또는 기존 부품에서 재료를 제거하는 절삭 방식입니다. 저희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재료로 원하시는 파트를 제작 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타입, 생산 부품, 반복 사용 마스터 패턴 및 정확도가 중요한 기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이상적입니다.

 

텍슨 제품군(통신, 반도체 장비, ESS, 케이블 하네스 등) 랙과 부속설비에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보임

 

서진시스템 제품군(통신용 랙, 중계기, 케이스 등 통신장비, 스마트폰 외함, 반도체 장비 등)

 

보고서가 잘되어있는, 기본에 충실한 회사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