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체는 일단 논외로 하고... 조금 더 살펴봐야한다.

시장 전반적으로 쉬어가는 국면이라고 생각되며 2단계에서 다시 150일 이평선을 터치하거나 깨고 내려간 종목이 많이 보인 한 주였다. 자동차, 디스플레이 업종은 아직 더 시간이 필요해 보임. 반도체 종목에서는 소수 종목만 급등하고 대다수 종목은 조정을 받으면서 지지선에 머무르고 있음. 앞으로 조정이 더 크게 나온다면 해당 종목들은 단계수정이 필요해 보인다. 금융(카뱅, KB)과 증권(키움, NH) 주 대장들은 1단계에서 2단계 진입을 시도하고 있고 삼성전기와 삼성 SDS도 동일한 흐름. 로봇의 흐름도 상대적으로 좋았던 한 주.

하지만 반도체에서 강한 종목이 계속적으로 나오고 있고 업종의 흐름도 아직 한창 2단계를 달리고 있어 긍정적인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다. SK 하이닉스만 보아도 흐름이 괜찮다. 이번주는 아쉽게도 보유종목들은 모두 조정을 받았고, 정성적 분석으로만 매수한 서진시스템은 사실상 상승흐름을 모두 되돌리고 2단계에 진입 실패한 1단계 상태라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모르는 상황으로 바뀜.

전력관련주는 윗꼬리가 두 번이나 달려서 조금 애매한 차트상태라 그냥 지켜보기만 하는 중이다. NAVER의 상승이 눈에 들어왔는데, 업종이 소외업종이라고 보는 게 맞기 때문에 이것 또한 지켜보기만. 바이오 종목 몇 개가 상승을 보여준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것은 현재 큰 추세라고 보고있지는 않음.

 

로봇은 3단계 진입시점에서 레인보우의 반등이 나왔다. 앞으로 흐름이 어떻게 될지가 재미있는 관전포인트이다. 2차 전지의 흐름이 여전히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보인다. 돌돌반이라고 하던데, 나의 포트가 나의 계획처럼 흘러가주면 정말 좋겠다. 

 

 

인상 깊었던 이번 주 시장. 코스피 200과 코스닥 150 모두 2단계 상승추세지만 코스닥 150의 윗꼬리가 눈에 띔. 해당일 이후 가장 주도 섹터는 반도체로 보고 있음. SK하이닉스의 52주 신고가가 유의미하다고 보는 중이다. 유한양행, 코스맥스, 한국콜마도 눈에 뜨였음. 그래도 목요일 이후 가장 눈에 띄는 섹터는 반도체이다. 이차전지는 변동성이 너무 심해서 예상할 수 없는 범주라고 생각하고 주도주를 제외하여도 결국 가격은 주도주를 따라가는 것으로 확인 중. 반도체 ETF도 좋은 흐름을 보여주는 중. 

 

보유 중인 반도체 흐름들이 수요일 이후로 좋아졌다. 넥스틴은 신고가를 돌파. 축축. 하나마이크론도 나쁘지 않다. 월덱스와 에스앤에스텍의 흐름은 좋지 않다. 거래량이 터진 이오테크닉스도 굉장히 이쁜 상황이다. 놓친게 아쉽다.한때 명품주식이였던 리노공업도 흐름이 좋아졌다.

새로 2단계(관심)에 편입된 종목은 SK네트웍스. 신고가돌파를 실패했지만 5000원 정도로 풀백 오면 도전해 볼 만하거나 VCP 밟고 나가는 것을 봐도 괜찮을 것 같다. 과거 매출액 데이터는 BAD 하지만 이벤트가 중요했다. 

파크시스템스라는 종목의 상승세가 단단하다. 반도체 쪽인데 매출 흐름도 좋다. 공부하고 지켜봐야할 종목 같다. 차트상으로는 150일선 대략 15만 원 터치해 주면 좋은 매수 기회일 것 같은데

 

 

이번 주에는 이차전지의 변동성이 참 인상깊었고... 흐름 좋은 친구들이였어도 업종 전체가 엄청난 영향을 받는 차트를 보여줬다. 변동성이 생기면서 쏠림이 약간 해소되려고 하는 기미가 보이는 느낌이다. 며칠 일찍 사서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불확실하지만 매수관점에서 조금 더 타이트한 기준과 원칙을 확립하였다. 전력주들은 미래가 살아있다고 했는데 윗꼬리가 너무 심해서 풀백이 와도 매수대상으로 삼아야 하나 의문스럽다. 상승거래량을 초과하는 거대한 하락거래량... 워낙 특이점 있던 주여서 잘 모르겠다. 업종을 약간 분산시키고 싶은 마음이 있는데.

 

매크로 매수 체크리스트

2단계 중, 주도주와 관심주

  1 383310 #에코프로에이치엔   
  2 247540 #에코프로비엠   
  3 086520 #에코프로   
  4 003670 *포스코퓨처엠   
  5 047050 *포스코인터내셔널   
  6 022100 #포스코DX   
  7 005490 *POSCO홀딩스   
  8 006260 *LS   
  9 010120 *LS ELECTRIC   
 10 042660 *한화오션   
 11 01245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2 272210 *한화시스템   
 13 010060 *OCI홀딩스   
 14 456040 OCI   
 15 010140 *삼성중공업   
 16 329180 *HD현대중공업   
 17 017800 *현대엘리베이   
 18 028050 *삼성엔지니어링   
 19 120110 *코오롱인더   
 20 241560 *두산밥캣   
 21 000100 *유한양행   
 22 192820 *코스맥스   
 23 214150 #클래시스   
 24 214370 #케어젠   
 25 214450 #파마리서치   
 26 140860 #파크시스템스   
 27 393890 #더블유씨피   
 28 403870 #HPSP   
 29 036810 #에프에스티   
 30 039030 #이오테크닉스   
 31 067310 #하나마이크론   
 32 095340 #ISC   
 33 086520 #에코프로   
 34 121600 #나노신소재   
 35 137400 #피엔티   
 36 035900 #JYP Ent.   

코스피200은 50일 이동평균선을 타면서 상승세 유지중이나 하락마감. 불타는 코스닥150은 이차전지 상승세의 힘을 입어 사상최고가에 도전 중.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와는 다를 수 있지만, 나는 350종목을 위주로 보기에 차트도 해당 지수차드를 참고하는 중. 코스닥의 상승세가 미쳤다. 손절은 마음아팠지만 이번주 마감하면서 보기엔 잘한 선택. 개인적으로 저걸 못 뚫을 것이라고 예측했던것이 잘못이였다. 대응을 하는게 맞지 않았나 싶다.

 

자, 이제 내가 금요일에 매수한 종목위주로 차트를 검토해보자. 사실 매수전 어느정도 하긴 했지만 많이 사고보니 약간 두려움이 생겨서 더블체크느낌으로다가. 절반정도 정리하는게 맞나...

스탠st 매수종목 찾는 방법

  1.  전체시장의 흐름을 확인한다.
  2. 차트를 기술적으로 분석해 최고로 보이는 업종을 몇 개 찾아낸다.
  3. 상승세인 업종 가운데 트레이딩 범위 내에서 움직이는 주식을 찾아 목록을 만든다.(2단계 종목)
  4. 목록에 오른 주식중 위로 저항을 갖고 있는 주식은 지워나간다.
  5. 목록에 오른 주식의 RS선을 확인하고, 대상을 더 좁혀나간다.
  6. 위의 매수 조건에 맞는 소수의 종목을 사되 전체 투자액의 반을 먼저 투자한다. 가격 주문방식(자동 추격매수)으로 매수한다
  7. 돌파 때에 거래량이 늘어나고 하락 때에 감소한다면, 돌파 수준으로 풀백할 때 나머지 투자액으로 그 주식을 매수한다.
  8. 돌파 때 거래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엔 돌파 직후 주가가 오를 때 주식을 판다. 만약 주가가 오르지 못하고 돌파 때보다 아래로 하락하면 즉시 처분한다.

하나마이크론은 신고가 돌파하면서 저항이 많이 없다고 본다. 이전 전고점이고 의미있는 가격 2만원에서 지지를 받고 있다. 50일 이평선도 2만원에 근접하면서 단단하게 차트상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 RS도 음의 영역에서 양의 역역으로 전환하였다. 하락때 거래량이 조금 나온 것, 최근 1달 외국인 수급이 약한 것이 아쉬운 점이다. 하락시 거래량이 나온 이유는 거래량이 실리며 신고가를 돌파했는데 그 돌파가 실패로 돌아서면서 하락전환했기 때문이다. 이또한 좋은 소식은 아니다. 매수시점은 사실상 애매하다. 변동성 축소구간을 겪지 않았다. 약 6주의 횡보만 있었다. 두번째 베이스 다지기로 보고있다. 위에서 말했듯이 강세장에서 긴 조정이 오지 않을 가능성 때문에 약간 조급하게 단단한 지지선만 보고 들어간 매수형태이다. 현재 매수를 주도하는 세력이 개인이긴하다. 공매도가 많아지며 신고가를 못 지켰지만, 현재가격에서 공매도가 이미 많은 것은 오히려 하락시 하방을 막고 상승시 숏스퀴즈가 나올 수 있으므로 나쁘지 않다고 본다. 

 

에스앤에스텍은 사실 많이 올랐고, RS가 너무 높다고 생각되어서 매수대상에서 제외했던 종목이지만, 현재 주도주가 더 주도하는 시장이라고 판단이 되어서 오히려 저항이 거의 없고 신고가부근에서 조정을 받고 있기에 매수하자는 아이디어였다. 이전 하락에서 50일선을 약간 붕괴하고 올라왔고 이번 하락에서도 나름 지지가 보이기에 나도 매수에 동참하였다. 하락시 거래량이 아예 없지는 않다. 최근 한달간 매수세는 누가강하다고 하기엔 애매한 흐름이다. 저항이 크게 없어서 두번째 베이스지만 하나마이크론보다 베이스사이의 상승이 큰 것 같다. 현재 장이 가는놈만 가는 쏠림현상이 심해서 긴급 영입된 매수종목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 신고가 근처에서 공매도 수량이 많이 늘었다가 현재는 어느정도 줄어든 상태로 보인다. 지지선이 상대적으로 약해보여 리스크가 어느정도 있는 종목으로 인지하고 있다.

월덱스는 굉장히 좋은 기업이나 주가상승은 크게 없었다. 과거의 저항이 현재 주가상승을 막고 있는 부분으로 보인다. 변동성 축소와 거래량이 터질때 추격매수하는 마크방식이 딱일 것 같으나 풀백에서 조금 급하게 매수한 부분이 있다. RS는 음의 영역에서 양으로 전환되었고, 조정시 거래량이 없는 점은 좋다. 저항을 큰 거래량으로 뚫어준다면 매물이 없으므로 기대가 되긴한다. 하지만 이것은 예측의 영역으로 매수를 진행한 것이라 조금 애매하긴 하다. 돌파후 2번째 베이스로 보인다. 하나마이크론과 비슷하게 저항을 만나며 베이스를 형성한 사례이다. 월덱스는 아직 뚫는 시도도 못하였다. 수급은 개인이 주도하고 있다.

넥스틴도 위로 저항이 없는 종목 중 하나이다. 위에서 말하였던 컨셉그래도 변동성축소를 못 기다리고 풀백에서 매수한 케이스이다. 공매도 수량이 존재하는 편이다. 저항이 강해서 괜찮지 않을까 싶음. 외국인 수급이 다른종목에 비해 좋은편이다. RS도 양호

레이크머티리얼즈는 RS가 너무높아서 제외했던 종목이지만 위의 종목보다 작은 비중으로 풀백자리에서 매수해봤음. 세번째 베이스로 보이며, 리스크가 가장 커보이는 종목중하나이다. 지지선이 깨나 아래에 있다. 해당종목은 흐름이 애매하고 50일 이평선을 하회한다면 손절을 바로해야하는 종목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분명 반등해서 50일 이평선을 터치할 수는 있지만 상대적으로 위험한 베팅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에프에스티는 원래 매수대상에 있다가 하락이 크게 나오면서 150일선을 터치하기에 제외한 종목이였으나 그 이후 거래량이 실린 갭상승이 나와서 W자 가운데 지점에서 애매하게 매수하긴 하였음. 운이 좋아서 상승을 맛보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함. 그때 EUV관련해서 뉴스를 확인하고 나서 이정도 내용이면 내용이 좋다고 생각하였다. 매수근거는 그 의외에는 없었다. 공매도 잔고가 크게 늘었는데 요새는 공매도가 늘면 오히려 숏스퀴즈를 기대하게 되는 이상한? 시장이긴 해서. 나쁘지 않다고 본다. 그래도 현재 주가에 오래되었지만 저항이 있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종합해보자면 그래도 하나마이크론, 월덱스, 넥스틴은 급하지만 나쁘지 않은 자리, 나쁘지 않은 매수구간이라고 생각한다. 에프에스티는 주관적인 판단이 조금 많이 들어갔다 다음 매매에서는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해보임. 에스앤에스텍과 레이크머티리얼즈는 위험한 자리에서 들어갔다라는 생각이 크게 든다. 다음 주 장에 따라서 리스크에 대한 보상을 받을지는 모르겠으나, 종목별 복기를 마치고 이것을 바탕으로 대응을 잘 해봐야겠다.

Like jackal

 

일단 이번 주에 느낀 것 중 가장 중요한 것은 2단계 종목 중 상승이 크게 일어나서 매수종목에서 제외된 종목도 조정 시에 매수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한미반도체라던지, HPSP 등이다. 첫 번째 베이스가 지났더라도 두 번째 베이스 이후 랠리부터도 큰 상승을 기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주말에 놀기 바빠서 빠르게 350 종목을 분류하였다. 코스피는 저점과 고점을 갱신하면서 상승하고 있다. 코스닥은 전고점에 와있다. 에코형제들이 하락하지 않아서 내가 인버스를 정리할 지수의 조정이 크게 나오지 않고 있다. 쩝. 이것 또한 내 인버스 ETF 매수타이밍이 잘못된 것이다. 너무 빨랐다. 지수가 크게 상승한다면 손절이 나올 구간이긴 하다.

 

이차전지는 정말 모르겠다. 금양의 상승...부터 여러 가지로 어지럽다. 성우하이텍도 놓은 주가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2차 전지업종 안에서도 유행이 있었는데, 이전에 유행했던 2차 전지 테마들은 현재 3단계에 진입하였다. 2차 전지가 지속되는 주도주라면 아마 다음 주도주는 현재 2단계에 진입하고 있는 것들 중 하나지 않을까?라는 기대.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10만 원을 넘으면서 상승하는 것으로 보였으나 아직도 첫 번째 베이스를 다지는 것으로 보인다. 거래량이 말라있다. 거래량이 실린 상승이 나온다면 좋은 흐름을 기대해 볼 수 있지 않을까? 더블유씨피와 같이 보고 있다.

조선주는 너무 사이클이 길고 무서워서 주도업종이라 하여도 매수대상에서 제외하고 싶어서 제외. 그래도 주도업종 중 하나이고 참 잘 간다.  한화xx주도 잘간다. 피부미용이나 자동차주식도 주도업종으로 주도주친구들이 참 강하게 상승하고 있다.

전력관련주에서도 2번째 베이스를 다진다면 매수대상으로 삼을 것들을 생각해 놓아야지 대응할 수 있을 것 같다. 당연히 LS E, 제룡, 일진 중 하나가 될 것 같다. 

반도체업종에서는 한미반도체, 이오테크닉스, 두산테스나, HPSP, 대덕전자가 눈에 띄었다. 나머지 내가 관찰하고 있던 종목들은 전고점 근처 거나 돌파실패를 보여주었다. 한미반도체는 그냥 미쳤다. 이제 저항이 없기 때문에 어디까지 올라가서 조정이 나올지 모르는 순간이라고 생각한다. 두산테스나는 매물벽이 많아서 후순위로 밀려났던 종목인데, 5만 원~5만 5천 원대 매물벽을 돌파할 수 있을까? 일단 거래량은 좋다. 첫 번째 베이스를 돌파하는 것으로 보인다. 에스앤에스텍은 보유종목인데 비중이 크지는 않다. 급상승하였기 때문이다. 매수하기에는 조정이 생각보다 짧고, 공모주에 자금이 묶여있어서 추가매수하지 않았다. 3주간 하락을 단번에 되돌렸고, 특히 금요일 거래량이 좋았다.  레이크머티리얼즈는 급등 후 조정국면인 것 같은데 거래량이 말라가고 있는 중이다. 지켜볼필요가 있다. 

하나마이크론은 신고가에 도전했는데 갑자기 대규모 매도물량 출회로 오히려 윗꼬리가 나오며 크게 하락하였고 지지선인 2만 원. 50일선과 2만 원이 만난다면 매수해볼까 싶기는 한데 물량을 저번에 확보해서 비중은 약간 있는 편이다. 하락 이유는 모르겠다. 월덱스는 에스앤에스텍같이 50일선을 찍고 반등해 주었다. 해당구간부터 매물벽이 존재하는데 어떻게 진행될지 궁금하다.

디스플레이업종 대장인 켐트로닉스와 LX세미콘의 흐름은 아직. 

관심종목을 싹 정리하고 업데이트하면서 빠르게 시장을 따라가 봐야겠다. 솔직히 좋아하는 서진의 차트는 너무 조잡함. 

코스피의 조정, 코스닥은 그래도 상승마감한 한 주였다. 사실 코스닥도 이차전지 쪽 하드캐리가 없었다면 조정을 받았을 것으로 보임. 조금 지켜봐야 할 것 같은데 주도주이며 급상승한 종목들 중 몇 개는 50일선과 만나고 있고 몇 종목은 유의미한 지지선과 만나고 이 씨. 상승추세가 유지되면서 풀백이 나올지 추세가 꺾이는 것일지는 모르겠다. 이 근방에서 매수한다면 2단계 풀백에서 매수하는 스탠식의 매수자리라 볼 수 있겠다.

전력관련주, 이차전지, 조선주 등등 이 눈에 띄는 현재. 반도체 업종은 살아있지만 몇 종목이 하락 거래량이 크게 나오며 꺾이는게 보였음. 전력주는 꺾이지도 않음. 베이스를 다지는 것을 노려봐야할 것 같은데 약간 늦은 느낌.

 

넥스틴은 보유 중이지 않고, 에스앤에스텍과 하나마이크론은 보유 중. 매수 1순위는 에스앤에스텍, 그다음넥스틴으로 생각 중인데 공모주 청약에 자금이 묶여있어서 강제로 신중하게 관찰 중. 넥스틴은 상승이 짧게 가는 것이 좀 아쉬워보임. 에스앤에스텍 5만 원 자리, 넥스틴은 7만 원, 하나마이크론은 1만 8천 원.

별도로 팅크웨어는 1단계에서 4단계. 네오티스도 4단계. 켐트로닉스는 2단계 베이스 다지는 . 디스플레이 업종은 계속 보기는 해야 함. 금융주는 이슈를 반영하며 1단계를 보여주고 있음. 서진시스템은 2단계이나 매물벽이 워낙 많고 오버행이슈. 성우하이텍은 거래량 터지면서 베이스돌파하면서 새로운 국면으로 진입한 것이 인상깊었다.

에스앤에스텍 : 의미 있는 가격 저항선은 5만 원, 50일 이평선이 뚫렸다. 마크가 말하는 두 번째 베이스로 생각되는 구간일 듯

넥스틴 : 의미 있는 지지선 7만 원과 50일 이평선이 만나있다. 2번째 베이스 구간이 형성되는 중이라고 보이는데, 상승이 베이스 형성 후 너무 짧은 느낌이 있다.

하나마이크론은 50일 이평선과는 거리가 있지만 의미 있는 가격 지지선 2만 원선까지 와있다. 하지만 50일 이평선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두고 보고 VCP든, 풀백이든 자리를 기다리는 게 맞을 듯.

에프에스티는 처음에는 후보군에 있었지만 흐름이 좋지 않으면서 우선순위에서 밀렸는데 너무 힘들게 패턴이 무너졌다. 관심종목에서 아웃이다.

 

많이 오른 종목 들은 흠... 고소공포증이 생기는 위치긴 하다. HPSP도 50일선과 만나고 있으나 패턴이 안정적으로 형성되고 있다고 보기가 어려워서 망설여지긴 함.

큰 특이사항은 보이지 않음. 여전히 코스닥 차트는 에코프로 차트와 유사하게 M자 패턴을 만들고 있기에 부정적이며, 코스피차트는 상승추세에 있기에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1단계와 2단계를 정확하게 나누기는 애매한 부분이 많다. 2단계의 그래프를 그려도 업종이 안 좋으면 1단계로 기록하기도 하고 그보다 차트가 늦어도 업종이 좋으면 2단계로 넣어놓기도 한다.

무튼 유한양행, 한화, 오리온홀딩스, 코오롱인더, 한국콜마 정도가 코스피에서 1->2단계로 수정하였다. 코스닥에서는 대부분 반도체종목을 수정하였다. 동진쎄미켐, 원익홀딩스, 네패스, 오스코텍, LB세미콘, 티씨케이, 차바이오텍, 유니테스트, 원익머티리얼즈, 심텍, 원익 IPS 정도이다.

이차전지와 엔터쪽이 조정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차전지는 특히 약한 종목들부터 3단계에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주도종목들 중에서도 이중천장형 패턴을 만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엔터는 일단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더블유씨피와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상승에 눈이 갔다. 더블유씨피를 좀 봐야겠다. 2단계 종목들에서도 ATH LS, 한 종목들이 굉장하다. 

하나마이크론,원익 QnC, 넥스틴등도 역사적 신고가 근처 반도체 종목 관찰해보. 이 작업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소수 업종 혹은 섹터의 종목 상승을 무시하게 될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 업종만 따로 놓고 전체적인 흐름은 따로 다시 보고 메모해 놓아야 폭발적 상승을 하는 주식을 놓치지 않을 수 있을 것 같다. 케어젠이나 클래시스 같은 종목들. 더불어 더블유씨피같이 데이터가 많이 없는 종목들은 소홀하게 봤는데, 해당 종목들의 같은 업종도 주목해서 봐야겠다.

 

특이한 사항은 없다. 주도업종은 이전과 유사하며 조정을 약간 받은 한 주. 개인적으로는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보고 있음.

코스피는 일단 10주 이동평균선까지 1% 남짓 남았음. 그 선이 깨진다면 이전 저점까지는 약 4% 정도. 아직 상승추세가 꺾였다고 보기는 어려워 보인다. 2500pt에서 지지받는 것이 좋아 보임.

반대로 코스닥은 이중천장형을 그리고 있다. 전고점 돌파에 실패하고 M자를 그리고 있다. 그래도 전저점까지 10%가 남아있으므로 충분히 여유 있다. 두고 봐야 하고 해당지점에서 지지를 받을 수 있으므로 그때에는 인버스 ETF를 정리하는 타이밍으로 잡아야 하나 고민 중에 있음. 800 ~ 820pt 가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아직 방향을 보기에는 쉽지 않으나 차트자체는 상승추세에 있는 코스피가 훨씬 이뻐 보인다.

 

반도체가 주도업종인 상황은 변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여서, 눈에 띄는 종목들을 비교해 보기. 연초부터 현재까지 수익률을 기준으로 나열하였음. 주도업종인 반도체 업종에서 2단계에 확실하게 진입한 주가흐름을 선도하는 종목들에서 필터링작업. 아이고 몇 종목을 빼먹었네...

  1. 281740 레이크머티리얼즈 : RS 너무 높은 상태
  2. 042700 한미반도체 : RS 높은 + 상태
  3. 094360 칩스 앤 미디어 : RS 상승한 상태
  4. 403870 HPSP : 
  5. 000660 SK하이닉스 : RS + 전환
  6. 067310 하나마이크론 : RS 0 영역
  7. 272110 케이엔제이 : RS 상승한 상태
  8. 039030 이오테크닉스 : RS 0 영역
  9. 348210 넥스틴 : RS + 전환
  10. 166090 하나머티리얼즈 : RS 0 영역
  11. 101160 월덱스 : RS + 전환
  12. 222800 심텍 : RS 음의 영역
  13. 219130 타이거일렉 : RS 낮은 + 영역
  14. 014680 한솔케미칼 : RS 음의 영역
  15. 036810 에프에스티 : RS 낮은 + 영역
  16. 에스앤에스텍 :  RS 높은 + 상태
  17. 두산테스나 :  RS 0 영역
  18. 주성엔지니어링 : RS 음의 영역
  19. SFA반도체 : RS 0 영역
  20. LX세미콘 : RS 0 영역
  21. 넥스트칩 : -
  22. 텔레칩스 : RS 낮은 + 영역

RS가 너무 상승하거나 너무 낮은 상태를 제외하면 8개의 종목이 관찰대상임. 그중에 영업이익 변동이 크고 18년도 전고점을 뚫지 못한 종목은 제외. 턴어라운드 하면서 주가 수익률이 좋아졌다고 봐야 할 것 같으며 영업이익의 상방이 막혀있어 주가상승여력도 막혀있을 듯. SK하이닉스, 타이거일렉 제외.

  1. 000660 SK하이닉스 : RS + 전환
  2. 067310 하나마이크론 : RS 0 영역
  3. 039030 이오테크닉스 : RS 0 영역
  4. 348210 넥스틴 : RS + 전환
  5. 166090 하나머티리얼즈 : RS 0 영역
  6. 101160 월덱스 : RS + 전환
  7. 219130 타이거일렉 : RS 낮은 + 영역
  8. 036810 에프에스티 : RS 낮은 + 영역
  9. 두산테스나 :  RS 0 영역
  10. SFA반도체 : RS 0 영역
  11. LX세미콘 : RS 0 영역
  12. 넥스트칩 : -
  13. 텔레칩스 : RS 낮은 + 영역

이제 남은 종목은 8 종목. 반도체 자체가 사이클산업인 것을 감안하여 CA는 적당히 확인했고, 이제 거래량과 매물벽등을 참고하여 기술적으로 가장 좋은 놈, (N) 신고가 혹은 새로운 사업이 있는 놈.( I ) 수급이 좋은 놈을 찾을 차례.

  1. 036810 에프에스티 : RS 낮은 + 영역
  2. 101160 월덱스 : RS + 전환. 연간, 분기매출 꾸준히 상승
  3. 348210 넥스틴 : RS + 전환. 데이터 부족
  4. 067310 하나마이크론 : RS 0 영역연간, 분기매출 꾸준히 상승
  5. 039030 이오테크닉스 : RS 0 영역연간, 분기매출 상승
  6. 166090 하나머티리얼즈 : RS 0 영역연간, 분기매출 상승
  7. 두산테스나 :  RS 0 영역연간, 분기매출 꾸준히 상승
  8. LX세미콘 : RS 0 영역연간, 분기매출 꾸준히 상승

아래 종목들은 시장의 흐름에 따라서 시세를 분출할 수도, 조정을 받으면서 건전한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기에 추적관리해야겠다. 현재 상승이 많이 나온 상태라 좋은 패턴을 보여주는 종목은 딱히 없어 보인다. 시장과 함께 추적관리고고씽. 4개! 시총이 작고, 안정적으로 보이는 내 스타일 월덱스, 우량하고 배당까지 든든한 LX세미콘, 역사적 신고가에 도전하는 하나마이크론과 넥스틴. 차트로 보았을 때에는 넥스틴이나, 하나마이크론.

  1. 101160 월덱스 : RS + 전환. 연간, 분기매출 꾸준히 상승. 52주 신고가. 매물벽 중간. 수급 Good, 대주주 35%, 외국인소진율 9.6% 나머지 55%, 시총 4,309억. 풀백 및 상승 후 조정
  2. 348210 넥스틴 : RS + 전환. 데이터 부족. 52주 신고가. 매물벽 얇음. 수급 Good, 대주주 30%, 외국인소진율 17.6% 나머지 약 53% 시총 7,903억. 약한 풀백 및 상승 후 저항돌파시도
  3. 067310 하나마이크론 : RS 0 영역연간, 분기매출 꾸준히 상승52주 신고가. 매물벽 얇음. 대주주 27%, 외국인소진율 9.74% 나머지 63% 시총 9,944억. 2만원 지지, 약한 풀백 및 상승 후 저항돌파시도
  4. LX세미콘 : RS 0 영역. 연간, 분기매출 꾸준히 상승. 52주 신고가. 매물벽 중간. 대주주 33% 외국인소진율 27.9% 나머지 39%, 배당수익률 3.8% 시총 1조 9,273억. 50일선 타고 상승세
  5. 039030 이오테크닉스 : RS 0 영역연간, 분기매출 상승52주 신고가. 매물벽 두꺼움. 수급 Bad
  6. 166090 하나머티리얼즈 : RS 0 영역연간, 분기매출 상승52주 신고가. 매물벽 중간. 수급 Bad
  7. 두산테스나 :  RS 0 영역연간, 분기매출 꾸준히 상승. 매물벽 두꺼움. 기관 수급 Good

이번 주 차트를 쭈욱 훑어보면서 리뷰 및 관심종목 확인하기. 반도체와 이차전지가 역시 핵심주도주 기계나 일부  의료기기도 2단계. 나머지 업종은 크게 볼 것이 없다. 기억에 남는 것은 은행의 대장은 JB. 차트를 보고(주도업종의 주도주) 나서 해당 기업의 내용 중 최대한 CAN SLIM에 해당하는 매출액, 이익 증가율이나 기관 수급을 보는 방식으로 진행 중. 섹터별로도 주도 섹터에 있는 종목은 최대한 관심을 가져보도록 노력 중. 마켓은 강세장으로 보인다.

반도체에서 NEW에 속하는 것은 EUV 였다가 최근에는 HBM, 리플로우 정도이다. 

코스피와 코스닥 차트 모두 2단계이며, 코스피가 2단계 초입으로 보인다. 코스닥은 전고점에서 어떻게 진행되는지 궁금. 조정받는 다면 그 시간 동안 인버스 ETF를 헷징물량 제외하고는 정리하여 롱으로 투자하는 것이 현재 강세장초입에서 옳은 판단으로 보임. 롱으로 투자하고 싶은 종목은 아래에서 정리하였음. 2단계가 이미 너무 진행된 종목은 손절리스크가 있기 때문에 2단계 초입에서 변동성 축소를 하고 나서 올라가는 주식이 매수대상

 

요번 주 눈에 띄는 2단계 종목은 PI첨단소재, 두산테스나, 주성엔지니어링, 에프에스티, 메지온 

PI첨단소재 거래량이 실린 급상승. 관련 뉴스가 있다. 업종이 주도주가 아니지만, 턴어라운드. RS는 음의영역에서 개선 중.

 

두산테스나, 주성엔지니어링, 에프에스티 모두 손잡이가 달린 컵모양형성하였지만, 두산테스나는 거래량이 더 줄어드는 모습이 바람직해 보인다. 해당 종목들의 거래량이 터지면서 손잡이 부근의 가격을 돌파하는지 지켜볼 대상들 RS는 에프에스티가 가장 좋고, 두산테스나, 주성엔지니어링 순

바이오 종목 중에서 2단계를 진입하고 있는 메지온. RS가 확실하게 반등에 성공하였다. 다음번에는 바이오, 제약에서 누가 현재 가장 대장역할을 하고 매수할 후보군에 오를 수 있는 후보인지 정도만 체크해 볼 예정. 한올바이오파마, 한미약품, 엘앤씨바이오, 파마리서치, 케어젠, 바이오니아, 셀트리온제약등 1~2단계 사이에서 꿈틀거리는 중으로. 다음 주에 조금 더 면밀히 볼 예정.

 

월덱스는 반도체 업종에서 내가 좋아하는 스타일의 종목. 매출이 탄탄해서 조정도 많이 받지 않았고, 2단계로 집입하였는데 매수타점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포트에 넣고 싶은 종목이다. 

켐트로닉스는 디스플레이 관련주 중에서 내가 추적을 나름 했었고, 사업포트폴리오가 탄탄해서 좋아하는 종목. 익절을 하였고 매수구간이 언제 올지 살펴포는 중이다. OLED 중 대장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며 듣기로는 애플 OLED의 안정적인 수혜주.

SK네트웍스는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로 테슬라때문에 급등하였다가 조정이 나오는 것 같은데, 관심있게 보고 포트에 넣어도 괜찮지 않을까.

 

 매주 기술적 분석 기록. 반도체, 2차 전지, 엔터, 증권, 중공업등이 강한 업종이며 약한 업종은 건설, 화학, 관광, 통신, 인터넷, 리오프닝, 지주사, 홈쇼핑, 화장품, 게임 등. 기회를 도모하는 바이오

 

코스피 차트로는 강세장의 시작부에 있는 것처럼 보이며 2단계가 시작된 것처럼 보인다. 상승하는 주가 하락하는 주보다 많아졌고 최근 4주 연속 상승 추세이다. 코스닥도 4주 연속 상승추세이지만, 코스피가 고점과 저점을 갱신하면서 상승추세인 것에 비해, 코스닥은 고점을 찍고 반등을 주고 있는 모양이다. 코스닥은 해당 고점에서 매물이 출회될 수 있으며 강한 매물벽이 있기에 인버스 포지션 타이밍을 잘못 잡은 나는 그때가 탈출기회로 보고 있음. 소수 종목의 상승으로 지수를 견인한 코스닥보다는 코스피의 상승이 건전해 보이는 것은 어쩔 수 없음. 

차트와 RS를 참고하여 너무 높게 유지한 종목을 제외하고 새로운 종목을 정성적 분석 없이 몇 개 관심종목에 추가. 이 종목들은 대다수 반도체, 이차전지, 엔터 업종이었지만 RS가 높은 종목이 워낙 많아서 지우고 나니 10개 정도의 종목이 남았다. 버틀러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RS가 확 개선된 것은 메지온이 눈에 띈다. 시장이 몇 주 동안 상승한 만큼 조정을 통한 매수자리는 거의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해당 종목들은 어차피 자리도 안 나오니 내용을 살펴보고 관찰만 해야겠다.

 

 

"반도체 후공정 업체에 투자하라…ISC, 하나마이크론 주목" - 머니투데이

이베스트투자증권이 '어드밴스드 패키징' 기술 변화로 반도체 후공정 업체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그러면서 후공정 업체들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제시하고 ISC, 하나

news.mt.co.kr

 

두산테스나와 월덱스가 기업의 내용과 차트, RS 모두 괜찮아보인다. 두산테스나가 더 빠르게 주요하게 관찰해야하는 종목으로 보이며 월덱스는 변동성이 축소되는 시간을 기다려야할 것 같다. 결국 이번주 골라낸 기업은 바로 두산테스나. RS도 음의영역에서 제로영역으로 오고있으며 변동성 축소가 2T 정도 되었고 상승추세를 그렸음. 최근 주도산업이라고 생각되는 반도체에 속함. 버틀러를 통해 실적을 보았을때에도 내용이 양호하였고, 이익성장도 낫배드. 폭발적인 상승률의 개선까지는 아니지만.

 

버틀러

기업을 보여드립니다. 투자비서 버틀러

www.butler.works

 

코덱스 200 거래량이 크지 않은 점은 아쉽다. 코스닥 150도 상승에 비해 거래량이 미미한 것이 아쉽다. 대신에 선물의 거래량이 굉장히 많았음. 이것들이 의미하는 바는 고민해 볼 필요는 있겠다. 하지만, 시장의 흐름이 굉장히 강한 느낌이다. 일단 약세장의 분위기는 아닌 것 같고... 공매도 포지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때. 코스닥 인버스ETF의 경우 만기일이 없고 상승여력이 제한적이라고 생각 중이라 들고 갈 예정이지만, 적어도 약세장이 아닌 현시점에서 공매도 포지션을 정리하는 것이 원칙에 맞아 보임. 괜찮은 수익을 안겨주던 공매도 종목들이 크게 상승하며 수익을 줄여왔고, 에코 2형제는 전주보다 손실이 약간 커진 상태. 시장의 상승을 보면서 롱포지션을 우격다짐으로 확대하였음.

 

각 종목 차트 단계분석

반도체 과반이상 2단계 진입 - 에프에스티

OLED - 켐트로닉스

바이오(일부) 일부 2단계 진입시도

게임(관찰) 크래프톤, 펄어비스

최근 장의 성격이 강세장으로 바뀌는 것처럼 보인다. 2단계 초입으로 들어간 종목의 숫자가 많아졌다. 업종에서 소외되는 종목은 디지털, 미디어, 통신, 의류 등등으로 보이며, 게임은 1단계를 지나 2단계에 도전하려는 종목들이 조금씩 보인다. 확실하게 2단계로 진입한 업종은 반도체이다. 그다음으로는 바이오 혹은 제약(종목별로 너무 상이하지만)과 게임종목을 추적해봐야 한다. 2단계의 진입이 언제 올지 모른다. 일부 주도주만 2단계 진입시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에 해당 종목을 관심종목에 넣어두어야 된다. 증권주들도 괜찮아 보였다.

반도체는 약간 상승이 나왔기에 주도주는 늦었기에 조정을 기다리는 전략으로 갈 예정이다. 반도체 중에 덜 오르는 놈을 사는 것은 X.

저번에 지켜보던 SK아이테크놀로지 2일 11시쯤 거래량과 시세를 확인하고 베이스확인 후 진입(마크 st)

바이오 ETF 헤드 앤 숄더패턴(150 이평 위에서)으로 거래량확인하고 진입. 진입타이밍은 스탠 st. 풀백 근처. 1단계일 가능성도 상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