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를 하지 말아야 하는 경우의 체크리스트(스탠, 윌리엄 오닐)
- P/E가 너무 높다고 공매도하지 않는다(과대 평가 주식군에서 공매도 선정을 하지 않는다) - 중복
- 주식이 너무 많이 올랐다고 공매도하지 않는다 - 중복
- 다른 사람들이 반드시 하락해야 한다고 하는 공매도 소용돌이에 휩쓸리지 않는다 - 중복
- 거래량이 적은 주식을 공매도하지 않는다
- 2단계 주식을 공매도하지 않는다
- 30주 MA 위에있는 경우 결코 매도하지 마라
- 강한 업종에서 주식을 공매도하지 않는다
- 강세장에서 공매도하지 않는다.
- 숏 인터레스트(미상환잔고/거래량)이 높은 주식을 공매도하지 않는다
공매도를 하기 위한 최적의 시점(스탠, 윌리엄 오닐)
- 작년에 상당한 상승세를 보인 주식을 찾아라
- 30주 MA가 평평하거나 꺾이기 시작한지 보아라
- 30주 MA가 상승하는 한 공매도를 하지 마라
- 시장이 30주 MA 이하일 때, 주식이 4단계일때 공매도 하라
- 업종이 30주 MA 이하일때, 업종에 속한 종목차트가 약세일 때
- RS가 낮아지고 있는 경우(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하락돌파)
- 하락시에 거래량은 크게 상관없다
- 지지선이 가장 적은 차트를 선호해라
- 헤드앤숄더 천장형을 활용해라
- 전체시장이 하락추세, 약세장인가? 반드시 약세장에서만 공매도를 해야한다.
- 이전 강세장을 이끌며 큰 폭으로 상승한 주식들인가?
- 유동성이 풍부한 주식인가?
- 머리어깨형 혹은 넓고 느슨한 불완전한 패턴인가?
- 상승하는 날보다 하락하는 날이 많은가?
- 주가가 상승 혹은 정체시에 거래량이 적었는가?
- 절대적 고점 후 최소 5~7개월이 지났는가?
- 50일 이평선이 200일 이평선 아래로 내려간 블랙 크로스가 발생하였는가?
-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50일 이동평균선 아래로 내려갔는가?
- 소규모 거래량으로 50일선 위로 반등을 시도, 실패를 2차례 이상 하였는가? 최초하락이 아니라 반등에 실패한 것을 확인하고 공매도해라
- 공매도를 하였다면 20~30% 수익을 목표로 자주 수익을 실현하라.
공매도 가능한 섹터는 화장품(고점 작년 6~9월), 전력기기(고점 올해 1월), 전선(고점 작년 5월) 정도로 보고 있음. 화장품 종목중 펨텍코리아가 아직 2단계, 에이피알 상대적 강세. 업종 전반의 강세는 아님. 전력기기는 아직 몇 종목이 150일 선 위에 있음. 체크리스트 절대적 고점 후 기간이 부족. 기다리면 될 듯 다 같이 약세인 모습. 전선 관련 주는 완벽한 3단계 진입을 볼 수 있지만 하방쪽 지지선이 많은 스타일. 업종단에서는 화장품과 전선관련 주가 공매도 가능. 전력관련주는 올해 하반기부터 가능. 매수할 때는 주도주를 사고, 공매도할 때는 주도하지 못하는 꼴등주식위주. 전력에서는 제룡전기 같은 느낌, 이미 먼저 하락을 크게 하였음. 로봇도 절대적인 기간을 지나면 고려대상.
추가적으로 4단계 종목도 발굴. 신저가
물량이 많은 순으로 쭈욱 스크리닝. 전선 쪽은 현재 나무에서 물량이 안 보임.
이왕이면 선물거래 없이 처음으로 공매도를 맞이하는 친구들이 하락 가능성이 높으니, 화장품에서 실리콘투, 코스메카코리아, 씨앤씨인터내셔널. 모두 최근 대차잔고 증가. 지지선이 없는 실리콘투가 가장 매력적인 부분이 많음. 수급도 개인위주. 실리콘투 25,000원 하방돌파시 공매도 가능. 코스메카 43.000원 하방돌파, 제룡전기 등...
'투자 > 생각정리, 끄적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경고 종목의 성과 (0) | 2025.03.26 |
---|---|
김치프리미엄 (0) | 2025.01.28 |
증시안정기금의 효과 (0) | 2022.10.01 |
공매도 금지의 역사와 성과 (1) | 2022.10.01 |
정신적 피로함에 대하여 (0) | 2022.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