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쉽게 지저귀는 짹짹이입니다.

안정성 지표로 사용되는 부채비율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부채비율, 부채총계, 자본총계란 무엇인가?

 

부채비율은 부채총계/자본총계 x 100(%)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채비율을 알기 위해서는 부채총계와 자본 총계를 알아야 합니다. 

기업은 두 종류에 자본을 가지게 됩니다. 남의 돈 혹은 나의 돈

남의 돈은 갚아야 하는 돈으로 부채라고 합니다. '남의 돈'의 총합 => 부채총계

나의 돈은 말 그대로 자기가 소유하고 있는 자본입니다. '나의 돈'의 총합 => 자본총계

즉, 부채비율은 '남의 돈'과 '나의 돈'의 비율을 보는 것이며, 자본 구성에서 '남의 돈'이 '나의 돈'에 비해 얼마나 비중을 차지하는지 나타내어서 자본 구성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부채비율이 낮은 것은 '나의 돈' '남의 돈'보다 많아 재무 건전성 혹은 안정성이 좋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나의 돈'이 갚아야 하는 '남의 돈' 보다 많다는 것은 채무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난 것이기 때문이죠.

반대로 부채비율이 높다면 '남의 돈'이 '나의 돈'보다 많은 상태이며 '남의 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을 의미합니다. 

즉, 부채비율은 '남의 돈'이 '나의 돈'에 비해 얼마나 있는지 알려주고, 부채 상환능력을 알려주는 것이죠. 산업군마다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200% 이하가 나오면 양호하다고 하며 100%이하면 아주 좋다고 말합니다.

 

부채비율은 왜 중요할까

 

 

여기부터가 핵심입니다. 적절한 부채비율을 관리하는 것은 중요한데요. 그 이유는 높은 부채비율은 신용등급을 하락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신용등급의 하락은 공공기관이나 대기업과 거래 시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투자를 못 받을 수도 있고, 높은 이자를 내야 해 수익이 나빠질 수도 있습니다.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이 받는 불이익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기업 신용등급 하락

2. 입찰 제한

3. 기업의 수익성 하락

4. 정부사업 및 정책자금 신청 시 불이익

5. 투자유치 제한

보통 부채비율이 400%가 넘는 기업이 위의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즉, 부채비율이 400%가 넘는 기업은 투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부채비율 낮다면 Good, 높으면 Bad? => No

그 이유는 산업구조와 사업구조에 따라서 부채비율은 상이하기 때문이죠. 보통 부채비율을 볼 때는 동종 산업 간에 비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대표적으로 조선업과 금융업은 산업 특성상 높은 부채비율을 나타내기에 동종업체와 비교하고 판단하는 게 좋겠죠. 

또한 '나의 돈'만 이용해서 사업하는 것이 좋다는 것은 아닙니다.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는 선에서 '남의 돈'을 빌려서 높은 수익을 내면 이익도 많이 볼 수 있기때문이죠.

핵심은 기업의 신용등급이 나빠져 불이익을 받고, 높은 이자를 내야 돼서 수익이 감소할 정도의 높은 부채비율은 좋지 않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쉽게 지저귀는 짹짹이입니다.

재무제표에서 안정성 지표로 분류되는 당좌비율을 알아보겠습니다.

당좌비율은 유동비율의 보수적인 버전으로 유동비율을 모르시는 분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고 오시길 바랍니다.

2019/11/16 - [주식투자-재무제표/재무제표 투자지표] -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이란 무엇인가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쉽게 지저귀는 짹짹이입니다. 재무제표에서 안정성 지표로 분류되는 유동비율을 알아보겠습니다. 유동비율, 유동자산, 유동부채란? 유동비율은 유동부채 대비 유동자산의 비율로,

jack-jack.tistory.com

당좌비율, 당좌자산, 유동부채는 무엇인가

당좌비율은 유동부채 대비 당좌자산의 비율로, 제품의 판매 없이 단기에 갚아야 할 부채의 지급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당좌비율을 자세히 알기 위해서는 당좌자산과 유동부채를 먼저 알아야겠죠.

'당좌비율 = 당좌자산/유동부채 x 100(%)' 이기 때문이죠. %로 표기합니다.


당좌자산은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에서 재고자산을 제외한 자산을 말합니다. 실제 재무상태표에서 보시면 아래와 같은 항목이 포함됩니다. 재고자산을 제외한 현금,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기타 유동자산 등등

중요한 점은 유동자산은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을 모두 포함하였지만 당좌자산은 재고자산을 제외하고 매출채권이 포함된다는 것을 기억해주세요.

유동부채는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부채를 말합니다. 실제 재무상태표에서 보시면 아래와 같은 항목이 포함됩니다.

당좌비율은 '당좌자산/ 유동부채'입니다. 위의 기업의 33기 3분기 당좌비율을 계산해보겠습니다.

당좌자산은 '유동자산 - 재고자산'이므로 당좌자산은 71,117,592,246 - 4,979,371,888 = 66,139,220,358원입니다. 당좌비율은 335%로 계산이 됩니다. 당연히 유동비율보다는 낮게 나오는 보수적인 지표입니다.

당좌비율(당좌자산/유동부채)의 의미, 보는 법

상식적으로 당좌비율이 높을수록 좋겠죠. 부채에 비해 자산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니까요. 그것도 재고는 제외한 상태죠. 낮으면은 안 좋겠죠... 유동비율과 마찬가지로요.

재고자산 같은 경우에는 모두 팔았을 때는 좋겠지만, 팔리지 않을 가능성이 많으며 적정 가격을 못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당좌비율은 유동자산에 아예 재고자산을 제외시켜버린 보수적인 지표가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재고자산이 많은 상품을 파는 기업의 경우 재고자산 처분에 실패한다면 유동비율이 높음에도 부실화될 위험이 있기에, 당좌비율을 참고한다면 재고자산을 제외하고 얼마나 부채를 지불할 수 있는지 살펴볼 수 있겠죠.

그렇기에 재고자산이 많은 기업의 경우 당좌비율을 보는 것은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당좌비율이 높다고 만사 오케이는 아닙니다.

당좌비율이 너무 높다는 것은 '현금이 많다는 것'일 수 도 있기에 자산이 수익창출을 위해 재투자되지 않기에 효율적이지 못하다고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당좌비율은 가공의 매출채권을 만들어 내었을 때에도 좋아지게 됩니다. 당좌자산에는 매출채권이 포함되니까요. 기억나시죠?! 그렇기에 매출채권이 가짜인지 아닌지 살펴보는 것은 정말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당좌비율을 알아보았습니다

구독과 공감은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쉽게 지저귀는 짹짹이입니다.

재무제표에서 안정성 지표로 분류되는 유동비율을 알아보겠습니다.

 

유동비율, 유동자산, 유동부채란?

 

유동비율은 유동부채 대비 유동자산의 비율로, 기업의 단기 부채에 대한 지급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유동비율을 자세히 알기 위해서는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유동비율 = 유동자산/유동부채 x 100(%)' 이기 때문이죠. %로 표기합니다

 

유동자산은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

실제 재무상태표에서 보시면 아래와 같은 항목이 포함됩니다. 중요한 점은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이 포함된다는 것입니다. 기억해주세요.

 

유동부채는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부채를 말합니다. 실제 재무상태표에서 보시면 아래와 같은 항목이 포함됩니다. 

유동비율은 '유동자산/ 유동부채'입니다. 위의 기업 같은 경우에는 33기 3분기 유동비율은 337% 정도로 계산되는데요. 생각보다 어려운 계산은 아닙니다!

 

유동비율 보는 법, 의미

 

유동비율의 의미는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부채'입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자산이 부채보다 많은 것이 좋기에 높으면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유동비율이 높다는 건 단어의 느낌과 같이 1년 이내에 기업의 유동성이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유동비율이 낮으면, 부채에 대한 지급능력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유동비율이 100% 미만의 기업은 재무상태가 좋지 않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1년 내에 갚아야 할 빚이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보다 많다면 어떻게 될까요. 빚을 갚기 위해서 돈을 마련해야겠죠.

돈을 더 잘 벌던지, 빚의 만기를 연장하든지, 다시 돈을 빌려 갚든지(돌려막기), 주주에게 손을 벌리든지(유상증자)해야 될 것입니다. 돈을 더 잘 벌게 되면 좋겠지만, 기업 능력의 한계로 유상증자를 한다면 좋다고 할 수는 없을 거 같습니다.

그렇기에 유동비율이 낮은 회사인데 유동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 현금흐름이 없는 회사라면 유의하시는게 좋겠습니다.

그렇지만 유동비율이 100%가 안되어도 평시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러 가지 악재가 겹치는 위기상황에는 부채를 상환하라는 압력이 세지고, 이러한 압력이 사방에서 가해진다면 회사는 위태로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높으면 무조건 Good, 낮으면 무조건 Bad는 아닙니다.

유동비율이 너무 높다는 것은 너무 현금성 자산이 많다는 말이 됩니다. 기업은 자금을 재투자하여서 이익을 보아야하는데, 그 현금이 너무 많이 놀고 있다는 것은 좋다고 볼 수 없겠죠. 언제나 그렇듯이 적~당~히가 가장 이상적이죠. 산업의 특성마다 다르기도 하기 때문에... 적당한 수치를 알려드리기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200%정도가 무난하다고 이야기들을 합니다.

또한, 위에서 보셨듯이 유동비율의 분자인 유동자산에는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이 포함됩니다. 그렇기에 분식회계로 매출채권을 부풀리는 경우에도 유동비율은 높게 나올 수 있고, 재고자산이 많을 때도 유동비율은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재고자산이 아주 많다는 것은 몇 상황을 제외하고는 좋은 징조는 아닐텐데 말이죠?

그렇기 때문에 다른 지표와 같이 살펴보아야 합니다. 매출채권이 조작되지 않았나도 확인해야합니다.

기업의 가공의 매출채권을 만드는 것도 매출채권의 증가가 매출액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표를 개선시키고 그 기업을 매력이 있어 보이게 만들기 때문인데요. 항상 조심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유동비율보다 조금 더 보수적인 안정성 지표 '당좌비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구독과 공감은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쉽게 지저귀는 짹짹이입니다.

오늘은 이자보상배율이라는 지표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자보상배율(이자보상비율)이란?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한 해 수입에서 이자비용으로 쓰는 비용이 얼마나 되는지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기업이 부채에 대한 이자를 지급할 능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이자보상배율 = 영업이익/이자비용

 

영업이익이 적자이면 당연히 마이너스 값을 가지게 됩니다. 만약 영업이익이 이자비용이랑 같다면 1입니다. 즉, 영업으로 번 돈 전부가 이자비용과 같다입니다. 1 미만이라면 영업활동으로 이자도 못 내는 기업에 속하게 됩니다.

이런 회사들은 성장하기가 참 힘들겟죠? 부채가 많거나 돈을 못 버는 것이죠.

이러한 이자보상배율이 1보다 작은 경우가 연속된다면 기업이 안 좋은 상황에 놓인 것이고, 기업이 할 수 있는 것은 주주에게 손을 벌리는 아주 끔찍한 일이 될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19년도 상장적격성 실질검사 대상기업 15개 중 2개 기업을 제외하고 이자보상배율이 3 이하였습니다.

2019/11/02 - [경제 이야기/초보자 재무제표] - 2019년도 상장폐지 기업 분석 및 특징

이자보상배율 지표의 장점은 영업이익이 적자인 기업뿐만 아니라 영업이익에 비해 이자비용이 많은 기업을 알아낼 수 있는 지표라는 것인데요. 보수적으로는 3 이상의 기업이 좋다고 생각하며, 최소 1 이상이 좋은 기업이라고 생각됩니다.

한 해정도는 사정이 어려워서 이자보상배율이 낮아질 수 있겠지만, 낮은 이자보상배율이 지속된다면 그 기업을 조심하시는 게 좋겠죠. 사채의 무서움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자보상배율 보는 법, 구하는 법

 

이자보상배율은 네이버 금융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금융에 없다면 재무제표에서 이자비용과 영업이익을 찾아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보통 네이버에서 제공하므로 네이버에서 이자보상배율을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원하시는 종목을 네이버에 검색하시고 재무정보를 클릭하면 우측과 같은 창이 나옵니다.

2. 카테고리에서 투자지표를 클릭해줍니다.  그 다음 하위 카테고리의 안정성을 클릭해주면 이자보상배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성우전자는 15로 이자보상배율은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투자하기 전에 영업이익뿐만 아니라 이자보상배율로 이자는 제대로 내는 회사인지 살펴보는 것은 어떤가요~?

구독과 공감은 큰 힘이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