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쁨과 좌절이 나타나는 팔

높이 들어 올리는 팔 동작은 기쁨과 흥분에 따른 보편적인 반응이다. 활기가 넘치고 행복한 사람들은 팔을 높이 올리고, 기분이 좋거나 확신에 찰 때는 팔을 적극적으로 흔든다. 반대로 무의식적으로 팔을 억제하는 사람은 불안하고 무기력해 보인다. 

부정적 정서는 사람들을 정신적, 육체적으로 가라앉게 한다. 득점하는 순간에는 공중으로 뛰어오르거나 팔을 뻗지만, 심판이 불리하게 판정을 내리거나 실점하면 어깨와 팔이 내려간다. 화가 나거나 두려울 때 인간은 팔을 거둬들인다. 걱정할 때는 팔을 옆구리에 직선으로 놓거나 가슴에서 양팔을 교차해 잡고 있다. 

떳떳하지 못할 때 팔은 뻣뻣해진다

핸드폰 속의 내용물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은 가방을 몸에 더 밀착시키거나 꽉 잡는 경향이 있다. 중요한 물건을 팔로 더 보호하려 애쓰며 그 물건이 눈에 띄는 것을 원치 않는다.

사람들이 아기 똥기저귀를 집는 방법

# 등 뒤에 팔을 두는 태도는 왕의 자세로 불리며 가까이 다가오지 말라는 의미를 전달한다. 흔히 왕족이 다른 사람들과 거리를 두기 위해 이런 행동을 취한다.

접촉은 상대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가를 잘 보여준다. 오물이 묻은 기저귀를 버리라고 건네줄 때 대개는 손가락을 몇 개만 사용해 잡고 몸에서부터 멀리 떨어뜨리려고 팔을 최대한 뻗는다. 변연계가 불쾌하거나 건강에 해롭거나 위험한 사물과의 접촉을 제한하기 때문이다. 팔은 위협이나 부정적인 무엇으로부터 자산을 보호하거나 거리를 두기 위해 차단하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개인의 영역은 곧 권력이다

영역은 본질적으로 권력이다. 그러나 영역을 주장하는 것은 강력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고 때로 크고 작은 싸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신감이 충만하거나 지위가 높은 사람이 팔을 이용해 자신감이 부족하고 지위가 낮은 사람보다 어떻게 더 많은 영역을 주장할까? 지위가 높은 사람은 앉자마자 자신의 물건을 펼쳐놓으면서 최대한 많은 자리를 차지한다.

# 양손을 허리에 대는 것은 강력한 영역 표현으로, 지배를 확고히 하거나 논란거리가 있다는 것을 알리는 데 이용된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양손을 허리에 대는 표현을 덜 사용한다. 엄지가 앞을 향하고 변형 자세는 더 호기심이 많고 덜 권위적인 자세다.

#머리 뒤에서 깍지 낀 손은 편안함 또는 우월함의 표시다. 보통 회의 중에 직급이 높은 사람이 이런 자세를 취한다. 

사람들은 뭔가를 강조하거나 영역을 주장할 때 팔을 사용한다. 비즈니스 회의에서 보다 넓은 영역을 차지한 사람은 내용에 대해 확신에 차 있다. 팔을 펴서 다른 의자 위에 걸치는 것은 확신에 차 있고 편안함을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 쭉 뻗어 펼친 양팔은 정확도가 상당히 높은 "나는 확신에 차 있다"라는 비언어다. 자신감이 있다가 부족해지는 순간 팔을 거둬들인다.

#손가락을 벌려 테이블 위에 손가락 끝을 올려놓는 것은 확신과 권위의 의미심장한 영역 표현이다. 팔을 펴서 다른 의자 위에 걸치는 것은 확신에 차 있고 편안함을 느낀다는 것을 의미한다.

손, 성공을 움켜잡는 기술

사람들은 효과적인 손 움직임에 긍정적으로 반응한다. 만약 설득력 있는 연설가가 되고 싶다면 풍부한 손 움직임을 활용해 보라.테이블 밑에 손을 숨기지 마라. 말하는 동안 손을 감추면 상대방이 의혹을 품게 된다.

#손가락질보다 손바닥을 펴고 가리켜라. 손가락질은 사람이 표현할 수 있는 가장 무례한 행동으로 인신되고 있다.

#다른 누군가가 말하고 있을 때 마치 관심이 없다는 듯 어깨에 먼지를 털거나 머리를 매만지는 등 자신을 다듬는 것은 무례한 행동으로 상대방의 말에 관심이 없다는 거부의 신호다.#손톱 물어뜯기는 일반적으로 불안 또는 긴장의 신호다.

#손가락 끝을 서로 닿게 해서 손으로 첨탑 모양을 만드는 것은 자신감에 대한 가장 강력한 표현이다.

첨탑 모양 하기는 법정에서 증언할 때 매우 유용하다. 때로 첨탑 모양(높은 자신감)에서 순식간에 깍지 끼기(낮은 자신감)로 바뀌기도 하는데, 이는 확신이 의심으로 변화됐음을 반영한다.

# 양손을 깍지 끼고 꽉 잡는 것은 우리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거나 걱정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보편적인 방식이다.엄지를 공중에서 위로 향하게 하는 것은 자신을 높게 생각하거나 자기 생각 및 현재 상황에 확신이 있다는 신호다.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자주 보이는 주머니 바깥으로 내놓은 엄지는 높은 자신감의 표현이다. 

#엄지를 위로 향하는 것은 긍정적 사고의 좋은 표시이며, 대화하는 동안 유동적일 수 있다. 중요하지 않거나 정서가 부정적으로 바뀔 때 엄지는 갑자기 사라질 수 있다. #주머니 속에 들어간 엄지는 낮은 지위와 낮은 자신감을 나타낸다. 그릇된 메세지를메시지를 보내는 표현이므로 권위 있는 사람은 피해야 한다. 주머니에 들어간 엄지는 즉시 불안이나 사회적 불편함의 메시지를 내보내므로 반드시 피해야 한다. #생식기 틀 만들기(엄지를 벨트 안으로 넣고 발지를 끌어올리는등)는 주로 연애하는 동안 젊은 남성에게 나타난다. 그것은 우월함의 표현이다.

자신감이 없어질 때 나타나는 행동

양손을 맞잡고 꽉 쥐거나 깍지를 끼는 것은 대개 스트레스나 낮은 자신감을 의미한다. 

#걱정이 있거나 초조할 때 우리는 손가락으로 손바닥을 문지르거나 양손을 함께 문지름으로써 진정시킨다. 아래위로 문지르기 위해 손가락이 서로 엇갈려 있을 때 뇌는 더 심각한 걱정이나 불안을 진정시키기 위해 손 접촉을 더 필요로 한다. 다른 모든 비언어 행동과 마찬가지로 손 움직임의 갑작스런 변화는 생각과 감정의 변화를 암시한다. 손을 거둬들이는 과정등이 있다면 위협을 느낄 때 발생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