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행동오류

경제학의 기본 전제는 투자자들이 합리적이며 항상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과도한 자신감

아래 표를 우선 보자. 1998년 여름에는 주가하락이 있었다.

 향후 1년간 기대 수익률

 1998년 6월

1998년 9월 

 내 포트폴리오

 15.20%

12.90% 

 시장전체

 13.40%

10.50%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주가하락에 의해 기대수익률은 줄어들었지만, 대개의 투자자들이 자신들은 시장 평균보다 2%정도 앞설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일부 투자자들은 이렇게 할 수 있겠지만, 모든 투자자들이 이렇게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람은 누구나 과도한 자신감을 갖는 경향(편향)이 있다. 이는 자연환경에서 생존해 나가는 데 유리할 수 있지만, 투자의 세계에서는 그렇지 않다.

- 새로 사업을 시작한 사람중 81%가 자신은 성공할 거라고 생각, 실제는 39%에 불과

- 미국의 운전자는 82%가 자신이 상위 30%안에 드는 안전운전자라고 생각

사람들은 어떤 일이 복잡할 수록 부적절하게도 과도한 자신감을 더 갖는다. 경제, 투자라는 복잡계에서도 과도한 자신감을 가진다.

 

자신은 몇 가지 간단한 투자원칙을 지키거나 시장 소식지를 구도학면 성공적인 종목선정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혹은 시장을 이기는 기술을 찾고 있는 수십만 명의 개인, 기관투자자들보다 당신이 똑똑하고 빠르다고 생각하는가? 당신이 주식을 사고 팔 때 그 상대방은 바로 "그들"일 가능성이 높다.

시장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고 믿는가? 똑똑한 전문가를 만나면 그렇게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멈춰버린 시계도 하루에 두 번은 맞는다. 증권가에는 이렇게 멈춰 서버린 시계가 무척이나 많다.

과도한 자신감의 배경에는 두 가지가 있다. 우리는 포트폴리오에서 실패한 것은 잊고, 성공한 것만 기억한다. 또한 그 성공을 운이 아니라 기술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당신의 머리를 믿지마라

 

당신의 종목선정 기술이 아주 탁월해 시장 평균을 넘어설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당신이 거래하는 상대방이 어떤 사람들인지 생각해봐라.

과도한 자신감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은 매년 적어도 몇 차례는 자기자신에게 "내가 죽었다 깨어나도 시장은 나보다 훨씬 더 똑똑하다. 수백만 명의 투자자들은 나보다 훨씬 더 훌륭한 장비를 갖추고 있다"

시장을 이길 수 없다면 내가 바랄 수 있는 최선은 가능한 비용이 적게들면서도 효율적인 투자를 하는 것이다.

인덱스 투자자의 가장 큰 즐거움은 시장수익률을 받아들임으로써, 시장을 이기려고 애쓰는 프로 투자자 가운데 압도적 다수를 물리칠 수 있다는 점이다.

 

마무리

투자의 세계는 참 아이러니하다. 워런 버핏, 피터린치, 조지 소로스처럼 실제로 돈을 번 대가들은 모두 한결 같이 미래란 정해져 있지 않아 알 수 없다고 겸손하게 고백한다.

반면에 돈을 벌지 못한 자칭 도사(전문가)들은 미래를 안다고 소리 높여 떠들어 대기 때문이다.

[출처는 굿모닝 북스, 투자의 네기둥이며 책의 내용을 요약하며 책의 해석이 약간 달라질 수 있습니다.]

 

 

투자행동오류

경제학의 기본 전제는 투자자들이 합리적이며 항상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군중심리와 유행

인간이란 아주 고도의 사회적 동물이다. 우리는 서로 모이기를 좋아하고, 특히 공통의 관심사를 공유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이것은 투자의 세계에서는 아주 위험하다. 그건 우리의 관심사나 믿음, 행동들이 유행을 따르기 때문이다.

만약 모두가 입을 모아 주식이 최고의 투자수단이라고 이야기한다면 그건 누구나 주식을 갖고 있다는 말이다. 결국 이말의 의미는 두가지다.

첫째, 모두가 주식을 매수했으므로 주가는 높을 것이고 미래수익률을 낮을 것이다.

둘때, 이게 더 중요한 것인데, 이제 더 이상 주식을 새로 매수할 만한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주가가 오르려면 잠재적인 매수자라는 예비군 세력이 있어야한다.

 

군중과 결별하기

어떤 투자상품이 다수 군중들 사이에 화제로 오르내린다면 그건 이미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도 과대평가 됐을 가능성이 높다. 1980년대 초 부동산과 금, 1980년 말 일본주식, 1990년대초 아시아의 네마리용, 1990년대 말 기술주가 그랬다. (+ 2017년 말 비트코인 + 2018년 바이오주 + 2019년 서울 부동산 + 2020년 초 삼성전자 or 미국주식?, 사견)

신문경제면에 특정 기업에 관한 기사가 넘쳐나고, 어떤게 유망하다는 사실을 모두가 알고있다면 그때는 저색경보가 울린 시점이다. 한마디로 동시대의 모든 사람들이 상식처럼 받아들이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한 다음 그것을 무시해버려라. 얻을 수 있는 두 가지 전략이 있다.

첫째, 동시대의 모든 사람들이 상식처럼 받아들이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했다면 그것이 틀렸다고 간주하는 것이다.

둘째, 앞으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자산은 현재 가장 인기 없는 자산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친구나 이웃들과 다른견해를 가져야 한다. 사실 친구나 이웃들은 당신생각을 인정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투자에 관한 얘기를 하면서 친구들과 거리감을 느끼는게 싫다면 아예 이 문제를 논의하는 것 자체를 피하는게 상책이다.

누가 당신에게 투자전략을 물어보면 미소를 지으면 슬쩍 이렇게 말하라

"내 투자자문가가 다 알아서 해줘. 나는 아무것도 몰라" 그리고 화제를 바꿔라

[출처는 굿모닝 북스, 투자의 네기둥이며 책의 내용을 요약하며 책의 해석이 약간 달라질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